IT 137

[JAVA] 배열, 함수, 삽입정렬

오늘은 배열의 값을 랜덤으로 생성하고 삽입정렬을 통해 오름차순/내림차순으로 정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였다. [한글코딩]시작 안내문 함수() { 삽입정렬 프로그램을 시작합니다! 출력 } 자료형 선택 함수() { 스캐너 선언 입력 저장할 변수 선언 언제 올바르게 입력할지 모르므로 무한루프 { 자료형을 선택해주세요! (char(문자)/int(정수)) 라고 출력 (c 혹은 i 입력 >> ) 라고 출력 입력받기 만약(금지어 함수()) { 대문자를 소문자로 변환 탈출 } 다시 입력해주세요! } 입력값 리..

IT/JAVA 2025.01.08

Java Section 06 : 배열

01 배열의 정의와 생성 [배열]: 같은 자료형의 변수를 지정하여 여러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 공간■ 같은 자료형의 데이터를 하나의 변수에 저장해 처리하는 방법으로, 같은 자료형의 데이터들을 효율적으로 다룰 수 있다.  ■배열 선언 방법자료형[ ] 변수 이름;int [ ] arr;자료형 변수 이름[ ];int arr[ ]; ■ 배열은 여러 개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므로, 배열을 선언만 하고 값을 부여하지 않으면, null이라는 값이 부여된다. ■ 배열은 생성과 동시에 데이터 자료형 별로 기본 값이 주어진다.정수형0실수형0.0문자형' '객체형null ■  배열은 값을 직접 변수에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주소값이 저장되어 해당 주소를 통해 실제 데이터에 접근하는 참조형 변수이다..

IT/JAVA 2025.01.07

[Day 7] 함수

[함수의 3요소] ==> "메서드 시그니쳐"① input : 입력값, 인수, 인자, 매개변수, 파라미터, args② output : 출력값, 결과값, return, 리턴값, 반환값③ 기능 : 기능은 함수명을 통해 유추할 수 있어야 한다.(예를 들어, println(), main(), nextInt(), equals() 등.. 전부 메서드 명을 보면 함수의 기능이 유추가 가능하다.) 함수를 사용하는 이유는 유지보수에 용이한 코드를 작성하기 위해서!! 함수를 사용하면 코드를 줄일 수 있다.같은 코드가 여기저기 작성되면 유지보수하기에 좋지 않다. 유지보수에 용이한 코드는 ? 중복이 없는 코드를 말한다.  중복되는 코드를 "함수화" (= 모듈화, 컴포넌트화, 고도화, 성능최적화) 함으로써 1) 중복이 없는 코드..

IT/JAVA 2025.01.07

포켓몬 게임

오늘 만들어본 프로그램은 포켓몬 게임이다. 배열에 포켓몬을 저장하고 포켓몬 목록 출력, 포켓몬 시합 참여, 포켓몬 잡기 등을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내가 작성하던...코드]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Random rand = new Random(); String[] poList = new String[3]; // 내 도감 int cnt = 0; // 아직 한마리도 안잡음 poList[0] = "꼬부기"; // 한마리 잡음 cnt++; int[] poLvList = new int[3]; //레벨이 저장된 배열 poLvList[0] = 5; String[] pokemon = new String[5]; // 다섯 마리 도감. 잡을 수 있는 포..

IT/JAVA 2025.01.06

선택정렬 - 발표 피드백

1. 시작할 때 팀명 소개 좋았다. 부족한 점이라면, 발표를 시작하기 전과 마칠 때 자기 소개를 하는 것이 좋다.(안녕하세요 선택정렬 그림을 설명할 ㅇㅇㅇ입니다 ~, 이상 선택정렬을 소개한 ㅇㅇㅇ입니다~) 2. 한글코딩하는 습관을 기르자!! 항상 한글코딩 신경 쓸 것 3. 발표내용 이해하고 발표 진행한 점 굳 4. 발표 시 '그냥' 이라는 단어는 사용 금지 5. 코드를 짰다, 자격증을 땄다 등의 언어 사용 자제할 것. 코드를 작성했다, 자격증을 취득했다 등의 언어 사용할 것 이번 팀은 기준이 무엇인가 했더니, 한글 코딩 습관화가 필요한 사람들이 모인 팀이라고 하셨다. 맞다. 한글 코딩 습관화가 필요하다. 그래도 요즘 계속 한글 코딩을 연습하다보니 조금씩 되고 있는 것 같다. 이번 팀플때도 한글 코딩부터 ..

IT/JAVA 2025.01.06

Java Section 05 : 제어문-2

[반복문] : 코드 내에서 똑같은 명령을 반복하여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명령문- for문, while문, do-while문 1. for문 : 반복문 중 가장 많이 사용■ 주로 반복 횟수가 정해져 있을 때 사용for(초기화식 ; 조건식 ; 증감식) { 실행문; }■  초기화식과 증감식은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고 콤마(,)로 구분한다. (처음 배울 때 for문 실행 순서가 헷갈렸었는데 이젠 걍 추억이다 ^_^,,, 성장한거겠지,,) 2. 중첩 for문 : for문 안에 또 다른 for문을 사용하는 경우■ 외부 for문과 내부 for문이 어떤 순서로 실행되는지 이해가 필요■ 중첩 for문의 대표적인 예시로는 구구단을 들 수 있다.for(int i = 2; i  3. while문 : 반복횟수가 정..

IT/JAVA 2025.01.06

선택정렬

[그림] [선택정렬]// 한글코딩 // 스캐너 변수 선언 // 랜덤 변수 선언 // 변수 배열크기 선언 // 계속 반복: //유효성 검사 // "배열의 크기를 입력하세요" 출력 // 배열크기에 사용자 입력 // 만약 옳은 입력이라면 // 배열크기가 2이상상 // 종료 // "다시 입력해주세요" 출력 // 정수형 배열 리스트 선언 및 배열크기로 초기화 // 반복 배열의 크기만큼: // 배열에 요소 입력 // 진위형 변수 플래그 모든요소중복 선언, 참으로 초기화 // 만약 입력받은 크기가 2이상 6이하라면 ..

IT/JAVA 2025.01.06

자료구조와 함께 배우는 알고리즘 입문 [자바편] : 최대값 구하기

알고리즘이란? 어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절차로, 명확하게 정의되고 순서가 있는 유한 개의 규칙으로 이루어진 집합1. 세 값의 최댓값 구하기 [책에 나온 코드]public class BookEx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tdIn = new Scanner(System.in); System.out.println("세 정수의 최댓값을 구합니다."); System.out.print("a의 값 : "); int a = stdIn.nextInt(); System.out.print("b의 값 : "); int b = stdIn.nextInt(); System.out.print("c의 값 : "); int c = stdIn.nextIn..

발표 준비 - 선택정렬에 대하여

선택정렬이란? 입력 배열 전체에서 최소값을 선택하여 배열의 0번 원소와 자리를 바꾸고, 그 다음에는 0번 원소를 제외한 나머지 원소에서 최소값을 선택하여 배열의 1번 원소와 자리를 바꾸는 형식이다. 이처럼 마지막까지 최소값을 비교하여 자리를 바꿔 최종적으로 오름차순 정렬을 마무리하는 것이 선택 정렬의 방식이다. 예를 들어, 6칸 짜리 배열이 있다고 치자. 그 배열에는 총 6개의 요소가 들어있다.요소들은 5, 7, 3, 1, 9, 6 순으로 들어있다.이 요소들을 선택 정렬을 이용해 정렬해볼 것이다. 먼저, 모든 인덱스를 훑으며 최소값을 찾아본다. 3번 인덱스에 들어있는 1이 최소값임을 확인할 수 있다.그러므로 0번 인덱스에 들어있는 5와 3번 인덱스에 들어있는 1을 서로 자리바꿈한다.그러면 0번 인덱스에는..

24.12.28(토) 스터디 기록

항상 코딩 스터디를 하고 싶다는 생각은 했지만 하지 못했는데 드디어 코딩 스터디를 진행해보았다. 1. 스터디 진행 방식 : 구글 미트 2. 스터디 내용1. 중첩 while문 개념2. 별찍기 코드 작성 및 해설3. 그 외 디스코드 사용법, 깃허브 소개 등 3. 스터디를 통해 느낀 점1) 서로 이해한 바를 알려주고, 모르는 점을 질문하니 학습에 도움이 되어 좋았다. 또한, 중첩 반복문 뿐만 아니라 디스코드, 깃허브 등 앞으로 개발자로 살아가려면 필요한 정보까지 함께 습득할 수 있어 좋았다.  2) 머리로만 이해하는 것이 다가 아니라, 남들에게 설명할 수 있을 정도로 이해해야 한다는 점을 느꼈다. 항상 어떠한 개념을 익힐 때는 머리로만 이해하려 하지말고, 누군가에게 설명을 해줄 수 있을 정도로 이해하고, 다듬..

IT/코딩 스터디 2025.0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