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124

org.apache.jasper.jasperexception 에러 발생

다음과 같이 org.apache.jasper.jasperexception 에러가 발생했다. 원인은 주석 때문에 태그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해 오류 발생. 코드를 보면 의 닫는 태그()는 잘 들어가 있다.하지만 JSP 주석이 아니라 HTML 주석()이 forEach 속성 중간에 들어가 있어서JSP 파서가 태그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한 것이다. 이렇게 작성했기 때문.. 주석을 지우고 위에 따로 달았다→ JSP 안에는 HTML 주석을 사용하지 말자!

IT/에러 모음 2025.04.29

자바스크립트 1일차

최종 프로젝트 때 왠지 VIEW를 맡게 될 것 같아서 하는 스크립트 공부... 웹 문서 안에 태그는 웹 문서 어디에나 존재할 수 있고, 몇 개든 존재할 수 있다. 다만, JS는 웹 문서에서 이미지나 텍스트 등의 요소를 제어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되도록이면 이미지나 텍스트 등을 다 표시한 후에 실행하는 것이 좋아서 태그 직전에 자바스크립트 소스를 삽입한다. 다만, 웹 문서 안에 삽입하는 것보다 외부 문서에 작성하고 파일을 연결하는 것이 훨씬 깔끔하고 유지보수성이 좋다. ※ 자바스크립트는 HTML, CSS와 달리 대소문자를 구별한다.[ 스크립트 해석 ] 자바스크립트 위 텍스트를 클릭해 보세요h1 태그로 감싸져있는 자바스크립트 텍스트를 클릭하면 클릭 이벤트가 발생한다. 클릭하는 순간 글자의 색상이 빨간색..

IT/Frontend 2025.04.14

PK값 수동 증가

이번에 Model 파트를 맡아 쿼리문을 짜면서 고민했던 점은 PK값을 증가시키는 방법이다. AUTO_INCREMENT를 사용하면 편하지만 해당 속성은 MYSQL에만 존재하는 속성이기 때문에 다른 DBMS와 호환성이 안좋다.그래서 생각해낸건 IFNULL(MAX)).BOARD_COMBO_LIKED_NUMBER의 가장 큰 값에 1을 더해 PK값으로 설정하는 것이다. 만약 BOARD_COMBO_LIKED_NUMBER에 값이 없으면 0으로 치환하여 다시 처음 값부터 증가시키도록 한다. 시퀀스(Sequence) 라는 것도 있다고 들었는데 그건 오라클 DB에서  값을 자동으로 증가시킬 때 사용한다고 한다.하지만 얘도 오라클에서만 쓰이고 MySQL에는 없는 기능이라고 한다.다만 시퀀스를 따라해서 MySQL에서도 비슷하..

IT/DB 2025.04.13

LIMIT ?, ?와 LIMIT ? OFFSET ? 차이

SQL에서 페이징할 때 자주 쓰는 두 가지 방식!비슷해 보이지만 표현만 다르고 의미는 같다.  1. LIMIT ?, ? SELECT * FROM table_nameLIMIT 시작인덱스, 개수;  첫 번째 ? → 몇 번째 행부터 시작할지 (0부터 시작)두 번째 ? → 가져올 행의 개수  OFFSET ? LIMIT ?SELECT * FROM table_nameLIMIT 시작인덱스, 개수;  OFFSET → 건너뛸 행의 수 (0부터 시작)LIMIT → 가져올 행의 개수 LIMIT ?, ?은 MYSQL 전용 스타일이고, 가독성 중요하거나 PostgreSQL도 고려 중이면 OFFSET ? LIMIT ? 이 낫다.

IT/DB 2025.04.03

[오라클로 배우는 DB 입문] 03-1 오라클 DB 설치 및 접속

오라클 DB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운영체제 최소 사양을 맞추어야 한다.오라클 사이트에 들어가 계정을 만들고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하면 된다. ■ 설치할 때 sqlplus라고 오라클 데이터베이스 접속용 프로그램이 함께 설치된다.■ system은 오라클 DB에 접속하는 계정(아이디)이며, oracle은 설치하면서 설정한 비밀번호. 즉, 관리자 아이디/비밀번호에 해당함.■ system 계정은 오라클 DB에서 최고 권한을 가진 SYS 계정의 DB 관리 권한을 위임받은 관리용 계정이다. DBA가 아닌 이상 사용할 일이 거의 없다.■ 오라클은 기본 학습을 위해 테이블과 데이터가 미리 구현된 SCOTT 계정을 제공한다. 설치 직후 잠겨 있으므로 직접 사용 가능 상태로 전환 해주어야 한다.

IT/DB 2025.03.25

[오라클로 배우는 DB 입문] 04-2 데이터 조회

[ SELECT문 3가지 방식 ]출력 데이터 선정 방식에 따라 크게 3가지 방식으로 나뉨 1. 셀렉션 (selection) : 행 단위 조회 행 단위로 원하는 데이터를 조회하는 방식. 테이블 전체 데이터 중 몇몇 가로줄의 데이터만 선택할 때 사용 2. 프로젝션(projection) : 열 단위 조회 -> 특정 테이블에서 조회하려는 행과 열을 모두 선별할 때 위의 2개를 함께 사용할 수 있음. 더욱 상세한 데이터 조회 가능 3. 조인(join) : 2개 이상의 테이블 사용해서 조회 2개 이상의 테이블을 양 옆에 연결하여 마치 하나의 테이블인 것 마냥 데이터를 조회하는 방식.외래키 등으로 연결해서 사용한다.여러 테이블의 데이터를 하나의 테이블처럼 조회실무에서 SELECT문을 사용할 때 JOIN을 많이 사용한다.

IT/DB 2025.03.25

[오라클로 배우는 DB 입문] 04-3 SELECT, FROM

[ SELECT ]데이터베이스에 보관되어 있는 데이터를 조회하는 데 사용SELECT와 FROM은 기본 구성 [ FROM ] SELECT절은 FROM절에 명시한 테이블에서 조회할 열이나 여러 열에 저장된 데이터 조합 또는 연산식을 지정함SELECT [조회할 열1 이름], [열2 이름[, ..., [열N 이름]FROM [조회할 테이블 이름]; ※ 쿼리문을 작성할 때 띄어쓰기와 줄 바꿈을 적극 사용해서 가독성을 높이자!

IT/DB 2025.03.25

[오라클로 배우는 DB 입문] 04-6 ORDER BY

[ ORDER BY ] 데이터를 정렬하는 데 사용SELECT [조회할 열1 이름], [열2 이름], ... [열N 이름]FROM [조회할 테이블 이름]... 그 밖의 절...ORDER BY [정렬하려는 열 이름(여러 열 지정 가능)] [정렬 옵션(ASC/DESC)]■ 먼저 지정한 열을 우선으로 정렬. 정렬 옵션을 지정하지 않으면 기본값으로 오름차순 정렬된다.■ 우선순위 고려하여 여러 개의 정렬 기준 지정 가능■ 특정 기준에 따라 데이터 순서를 맞추는 정렬은 많은 비용을 소모하기 때문에 ORDER BY절은 꼭 필요한 경우에만 사용■ 정렬 때문에 서비스 응답 시간이 느려질 수 있음

IT/DB 2025.03.25

[오라클로 배우는 DB 입문] 05-1 WHERE절과 연산자

■ WHERE절 : SELECT문으로 데이터 조회 시, 특정 조건을 기준으로 원하는 행을 출력하는 데 사용□ 여러 연산자와 함께 사용 가능□ 많은 데이터 중 어떤 조건에 일치하는 행만을 골라내어 조회하는 데 사용□ 결과 값이 true인 데이터만 출력SELECT [조회할 열1 이름], [열2 이름], ... , [열N 이름]FROM [조회할 테이블 이름]WHERE [조회할 행을 선별하기 위한 조건식];

IT/DB 2025.0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