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 개발

do, did

_KH_ 2025. 4. 11. 17:42
[ .do~ , .did~ ]
  • - 요청을 처리하는 서버주소 형식
  • 로직 요청

* 화면 요청과 구분 (화면 요청 : jsp, html 등)

 

1. .do 

스프링 MVC 등 자바 웹 개발에 많이 사용

서블릿 또는 컨트롤러 요청의 엔드포인트 역할을 함

 

2. .did 

do와 비슷하나, did는 사용자 정의

 

[사용 이유]

1. 요청 구분을 쉽게 하기 위해 (jsp, html 등의 VIEW와 구분)

2. 모든 요청을 하나의 컨트롤러에서 다루기 위해

3. JSP 파일 경로 노출을 막음

 

실제로 login.do 같은 파일이 존재한다는 뜻이 아님 (login.jsp가 따로 존재)

서버가 login.do라는 요청을 보고 로그인 처리 요청임을 파악한 후 서블릿이나 컨트롤러로 연결해준다. 

-> 자바 코드로 처리할 요청임을 구분

--> 서블릿 매핑을 통해 (@WebServlet("*.do")) 사용

 

[흐름]

1. 사용자가 /login.did 요청

2. FrontController가 받음

3. FrontController에서 URI를 받아서 명령어(command) 추출

4. ActionFactory가 명령어에 맞는 로직 찾아서 실행

5. 처리 완료 후 페이지 forward / Redirection